본문내용 바로가기
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웹사이트는 국민의 알권리 보장을 위해 대통령기록관에서 보존 · 서비스하고 있는 대통령기록물입니다.

This Website is the Presidential Records maintained and serviced by the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to ensure the people’s right to know.
광화문 국민대토론
  • 안전성
  • 경제성
  • 전기요금 오를까?
  • 탈원전 속도, 너무 빠른가?
  • 김겸
    저는 반대합니다. 친환경 에너지를 만들려면 우리나라에 경우에는 태양을 주로 사용해야되는데
    원전을 없애면 더 많은 부지가 필요하게 되고 소요예산도 많이 들어갑니다. 원전을 없애기 보다는 미세먼지에 원인이 되는 화력발전소를 줄이고 친환경 에너지를 늘리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댓글 161
    797
    댓글접기
  • 제이제이쫘
    찬성과 반대중에 선택하라면 우선은 반대입니다 구체적인 대안이나 정부차원의 계획이 궁금합니다
    댓글 32
    664
    댓글접기
  • 행복세상
    원전비율은 낮추돼.수출.경제적인 성과.를위해 발전은시키고 더불어서 친환경태양열.수소에너지등도 같이 발전시켜야한다.영국원수출.아랍수출등의 경제적성과도 봐야한다!
    그러니.완전히 제로등 탈원전만 추진하지말고.비율을 낮추고.친환경 비율을 높여주세요~
    댓글 29
    447
    댓글접기
  • 번개팅
    싸니까요.......
    댓글 0
    0
    댓글접기
  • 번개팅
    안전.....
    댓글 0
    0
    댓글접기
  • 새발의피
    원자력은 나쁜거라고 정해놓고 하는 탈원전 정책 반대합니다. 5년동안은 이상없고 그 이후는 모르겠다는 탈원전 정책을 반대합니다.
    댓글 0
    1
    댓글접기
  • 오복
    저는 반대합니다 원자력외에 구체적인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 원전의 철수는 국가안보 및 기강산업에 큰 타격을 줄 것입니다
    댓글 0
    1
    댓글접기
  • 탈원전에 대해서는 찬성하지만 너무 성급히 추진하는것 같습니다
    댓글 0
    0
    댓글접기
  • 도텔
    반대합니다. 섣불리 탈원전을 추진하였다가 지구 온난화 문제, 화석연료 가격 상승, 신재생 에너지 기술의 더딘 발달 등에 의한 원인으로 국가의 에너지 수급 계획에 차질이 생긴다면 이또한 문제가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현상황을 유지시키면서 단계적으로 서서히 탈핵을 진행해야 하는 것이 어떨까요?
    댓글 0
    1
    댓글접기
  • 호빵찐빵아빠
    신에너지원의 가능성 확인후 점진적 감소가 바람직
    댓글 0
    0
    댓글접기
  • 깜깜
    탈원전 정책에 반대합니다. 원자력이 위험하다는 것은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고의 위험이 있다고 해서 지금 당장 건설 중인 것을 중단하고 탈원전으로 가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신재생 에너지를 찾지도 못했고 뚜렷한 계획도 없는데 갑자기 전기 생산이 줄어드는 게 더 큰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댓글 0
    0
    댓글접기
  • 10자이내로
    지금까지 일어난 원전 사고는 인적사고 입니다. 후쿠시마 원전사고도 쓰나미에 대비해 담을 더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 끊임없이 있었고 충분히 대응이 가능했던 문제였지만 사전 대비를 소홀히 하였고, 체르노빌 또한 제어 미숙의 인적사고입니다. 저 또한 잘 알아보지도 않고 후쿠시마가 쓰나미로 넘어온 물때문이 아닌 지진으로 방사능이 유출된 줄 알았기에 자연재해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에 현재 우리 원자력은 어떻게 굴러가고 있는지 자료를 찾아봤습니다. 제어 미숙같은 사고에 대비해 똑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다른 방식으로 구동 되게끔 이중 삼중 사중으로 설계가 되어있고 내진설계도 되어 있고...그리고 무엇보다 후쿠시마가 지진으로 터진게 아니였음에도 여론에 휩쓸려 감성적으로 판단했다는것에 부끄러움이 들었습니다. 우리나라 전기 "현재"에는 충분하죠. 근데 몇년 후 수명이 다 해 가동 중지되는 기기가 몇기인진 아시나요? 그때도 원자력을 대체할 에너지가 없다면 대체 어떻게 되는걸까요? 마냥 무모하게 없애야만 한다!!하고 하기에는..전기는 제가 생각하는 것보다 굉장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더라구요. 실 생활 잠깐, 공장 구동 잠깐 안하고, 잠시 불편하면 되겠지가 아니였어요. 영화를 보다가 자연재해로 정전이 되는 영화를 본적이 있는데 생각 할 수 없었던 부분에서 전기의 무게를 느꼈는데요. 병원에서도 전기는 큰 부분을 차지하고 그것이 생명과도 직결된다는것에 그 무게를 다시 한번 느꼈었는데요. 무모하게 태양열도 있고 LNG도 있고 대체에너지 개발하면 된다라며 정말 무모하게 추진하기엔, 저는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생각합니다. 백지화 하는게 아닌, 더 강한 감독과 안전한 방법으로 운영 할 방법을 찾아나가돼, 대체에너지 개발에 더욱 힘쓰며 대체할 에너지의 뭔가라도 잡혔을때 서서히 원전을 줄여나가는 것이 현재 더 필요한 방법이라고 강하게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제발 이런 중요한 문제에 뜬구름잡는 대책이 아닌 불안하지 않게. 정말 대책다운 대책이 진행 될만항 상황일때 정책 추진을 간곡히 부탁드려요...
    댓글 0
    0
    댓글접기
  • 마나슬루
    무조건반대는 더 큰 혼란만 야기함 즉각중단보다는 단계적 보완장법으로 나가야함
    댓글 0
    0
    댓글접기
돌아가기
의견을 작성해주세요
확인
창닫기
작성이 완료되었습니다
확인
창닫기
등록되었습니다.
확인
창닫기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확인
창닫기
이미 좋아요를 하였습니다.
확인
창닫기
정상적으로 좋아요 되었습니다.
확인
창닫기
동일아이피로 100건 등록 가능합니다.
확인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