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웹사이트는 국민의 알권리 보장을 위해 대통령기록관에서 보존 · 서비스하고 있는 대통령기록물입니다.

This Website is the Presidential Records maintained and serviced by the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to ensure the people’s right to know.
광화문 국민대토론
  • 안전성
  • 경제성
  • 전기요금 오를까?
  • 탈원전 속도, 너무 빠른가?
  • 김겸
    저는 반대합니다. 친환경 에너지를 만들려면 우리나라에 경우에는 태양을 주로 사용해야되는데
    원전을 없애면 더 많은 부지가 필요하게 되고 소요예산도 많이 들어갑니다. 원전을 없애기 보다는 미세먼지에 원인이 되는 화력발전소를 줄이고 친환경 에너지를 늘리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댓글 161
    797
    댓글접기
  • 제이제이쫘
    찬성과 반대중에 선택하라면 우선은 반대입니다 구체적인 대안이나 정부차원의 계획이 궁금합니다
    댓글 32
    664
    댓글접기
  • 행복세상
    원전비율은 낮추돼.수출.경제적인 성과.를위해 발전은시키고 더불어서 친환경태양열.수소에너지등도 같이 발전시켜야한다.영국원수출.아랍수출등의 경제적성과도 봐야한다!
    그러니.완전히 제로등 탈원전만 추진하지말고.비율을 낮추고.친환경 비율을 높여주세요~
    댓글 29
    447
    댓글접기
  • 하이닝
    독일은 오랜시간 준비했고 옆나라 프랑스에서 필요시 공급가능하지만 우린 에너지 폭등시 싼전기를 싸올수없어 국민 전기요금 및 기업생산단가에 큰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한국원전은 안전성이 높고 경제성이 높아 충분한 원전수출 가능성이 있어 고용창출에도 도움이 된다.
    댓글 0
    0
    댓글접기
  • 슈나이더
    탈원전 정책에 반대합니다. 크게 보았을 때 탈원전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나 현재와 같이 대안없이 안전성이 개선된 신규원전 건설을 중지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노후된 가동원전의 계속운전을 제한하여 그 규모를 축소하더라도 대안 마련 전까지 신규 원전 건설은 계속되어야 합니다.
    댓글 0
    1
    댓글접기
  • 초임
    대안없는 탈원전 정책에 반대합니다. 후쿠시마 사고를 겪은 일본도 대안없는 탈원전 정책을 감행하였다가 다시 원전을 재가동하는 추세입니다. 우리나라 원자력은 그 안정성을 인정받아 외국에도 수출할 정도의 기술력을 갖고 있습니다. 세계에서 손가락 안에 꼽을만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구요. 하지만 우리나라는 탈원전의 선두주자인 독일만큼의 경제대국이 아니며, 독일은 원자력 대국인 프랑스와 인접해 있어 프랑스에서 전기를 사다씁니다. 우리나라는 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나라입니다. 지금 현재 원자력만큼 발전단가가 저렴한 에너지가 우리나라에 있나요? 우리나라는 이산화탄소 배출에 대한 규제를 받는 나라이고 요즘 한참 이슈인 미세먼지로 인해 화석연료를 에너지원으로 쓰는데도 한계가 있습니다. 물론 안전한 신/재생 에너지 좋습니다. 하지만 신/재생 에너지에 투자를 많이 한 것도 아니고 신/재생 에너지로 현재의 전력수요를 감당할 수 있을만큼 대책이 있는것도 아닙니다. 그런 상황에서 성급한 탈원전 정책은 결국 우리의 부담으로 돌아올 것입니다. 가정용 전기료 대신 산업용 전기료를 올리면 된다구요? 기업들은 손해보는 장사를 하지 않습니다. 산업용 전기료가 올라가는 만큼 물건 값은 오를껍니다. 결국 소비자인 우리에게 이 부담이 돌아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에너지 공급에 대한 대안을 세우고 그 성과가 눈에 띄게 될 때에 탈원전 정책에 대해 다시 논의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댓글 0
    1
    댓글접기
  • onion
    탈원전정책에 반대합니다. 무엇보다 아직 원전을 대체할만큼 저렴하게 이용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에너지가 없어 대책없이 정책을 실현하기에는 너무 많은 문제들이 얽혀있듯합니다. 전기료인상은 사업체 뿐만아니라 가계의 기본으로 지출되는 생활비와도 얽혀있어 나아가서는 기본적인 소비심리 위축과도 연결될 수있다고 생각합니다. 원전으로 인하여 발생할 중이었던 수많은 일자리와 탈원전으로 인해 일자리를 잃는 많은 전문인력등 발전과 보안 가능한 에너지 발전 에도 많은 손실이 있을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후쿠시마 원전사고도 원전의 문제로 인한 사고가아닌 지진의 발생, 자연재해로 인한 사고로 알고있습니다. 지진으로 인행 2차 피해를 걱정하여 두려움과 편견으로 섣부른 판단을 하기에는 너무 많은 문제들을 안고올 큰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소를 잃어버릴것이 걱정되어 새로운 외양간을 새우기도 전에 외양간을 부시려고 하는 것 은 아닐까 우려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실현 가능한 확실한 대안과 실현가능성을 확실히 검토한 후 조금씩 실행에 옮겨도 늦지않다고 생각합니다.
    댓글 0
    0
    댓글접기
  • 부기온앤온
    반대합니다. 급하게 추진되는 일은 탈이 나기 마련입니다. 원자력을 대체 할 수 있는 에너지에 대한 확실한 대안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탈원전은 오롯이 국민들에게 돌아오기 마련입니다.
    댓글 0
    0
    댓글접기
  • 강화 도령
    원전없이도 에너지 자원이 충분하다면 찬성할 수 있겠는데...
    과연 그럴른지...
    국가에서는 탈원전 정책 보다는 원전을 어떻게 안전하게 관리해 나가도록 할 것인지
    고민해 주시길 바랍니다.

    댓글 0
    0
    댓글접기
  • 보통주민
    탈원전 정책에 반대합니다.왜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겪었음에도 또다시 원전을 가동할까요 앞으로 전기차 시대가 도래한다는데 그많은 전기는 또 어디서 생산해야 할까요 우리나라에서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독일도 탈핵하고 프랑스에서 전기를 수입한다고 하더군요 정말 탈핵을 하려 한다면 장기간 계획과 준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당장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댓글 0
    0
    댓글접기
  • 미래최종에너지
    원자력은 가장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습니다
    댓글 0
    0
    댓글접기
  • 맨투맨투
    많은 분들이 일자리를 잃어 버릴 수 있고 예산 문제와 전기료도 올라 갈것 같아서 반대입니다
    댓글 0
    0
    댓글접기
  • 아이아빠78
    국민의 다수의견이 한의견으로 모아진다면 당현히 따르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의견이 부분하고 즉각적인 대안이 있는게 아니라면 현재 건설중인 발전소는 지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국민들인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 만큼 투명한 운영과 정확한 정보 전달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다수의 국민이 수긍할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 0
    0
    댓글접기
돌아가기
의견을 작성해주세요
확인
창닫기
작성이 완료되었습니다
확인
창닫기
등록되었습니다.
확인
창닫기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확인
창닫기
이미 좋아요를 하였습니다.
확인
창닫기
정상적으로 좋아요 되었습니다.
확인
창닫기
동일아이피로 100건 등록 가능합니다.
확인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