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at31
판도라 재난영화로 500만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영화는 규모 6.1의 지진으로 원자로가 폭발하고 격납건물이 깨지는 재앙을 다뤘다. 상업영화라지만 과학의 잣대로 따져보지 않을 수 없는 것은 반핵(反核)의 정치성 때문이다. 처음부터 엉터리 시나리오였다. 국내 모든 원전은 영화보다 12∼30배나 큰 지진에도 끄떡없는 규모 6.5∼7.0의 내진설계가 돼있다. 노심용융, 수소폭발, 격납건물 파괴 또한 한국 원전 구조상 가능성이 전무하다. 우리의 원전 의존도는 30%로 매우 높다. 섬이나 마찬가지인 나라여서 독일처럼 이웃나라에서 전기를 끌어오기도 어렵다. 대체 전력의 공급 안정성과 경제성, 전기료 부담, 산업경쟁력 저하, 수출경쟁력 상실의 정도 등 따져볼 게 한두 가지가 아니다. 이런데도 문재인 정부는 공정률 28%를 넘긴 신고리 5, 6호기의 건설공사를 일시 중단하는 조치부터 내렸다. 그리고 석 달 만에 위원회가 영구중단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한다. 이해 당사자인 국민을 pass한 접근이다.원자력발전과 원자력 연구를 분명히 구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연구용 원자로의 중성자 활용 연구 결과물은 의료, 소재, 신재생에너지 분야까지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10일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열린 ‘세계 중성자산란 학술대회(ICNS) 2017’ 참석차 방한한 빈프리트 페트리 독일 마이어 라이프니츠 연구센터장은 탈(脫)원전 에너지 정책이 기초과학 발전의 발목을 잡아서는 안 된다.국내 유일의 연구로 '하나로'(HANARO)가 있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3년 넘게 가동을 멈추면서 산업계뿐 아니라 의료·반도체 등 피해 생겨"한국에서 원전을 대체하려면 풍력 터빈 1만3000개나 태양광발전소 4000개 이상이 필요한데, 천문학적 비용이 들 뿐 아니라 수급이 일정하지 않아 석탄과 천연가스를 태워야 하는 날이 더 많을 수도 있다"며 "원자력은 무조건 위험하고 신재생에너지는 깨끗하고 지속 가능하다는 장밋빛 환상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했다."신재생에너지의 대표 주자로 여겨지는 독일조차 세계 최대 연구용 원자로 'FRM-Ⅱ'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고 있다"며 "탈원전이 탈원자력이 돼선 안 된다"신산업 분야에서는 지금 이 순간에도 세계 각국에서 글로벌 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기 때문이다. 드론산업에서 한국이 규제로 기업들 발을 묶어 놓은 동안 중국 기업들이 맹렬히 뛰어들어 세계 시장의 90%를 장악한 게 단적인 예다. 그런데도 증세, 최저임금 인상, 탈원전처럼 피아(彼我)를 나누는 정책으로 국력을 분산시키는 정부가 안타깝다. 가장 시급한 것은 규제를 개혁해야 한다.고준위 방폐장 건설 프로젝트와 함께 폐연료봉의 효과적 처리를 위한 연구도 병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파이로프로세싱 기술이다. 파이로프로세싱 기술은 폐연료봉에서 사용 가능한 부분을 추출해 다시 원전 연료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재활용할 경우 방사능은 1000분의1, 부피는 20분의1로 줄어들게 된다.태양광, 풍력, 지열, 조력 등도 마찬가지다. 오염물질이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발전효율이나 지속적인 전력생산 능력은 크게 떨어진다. 전력 사용량이 공급량을 일순간이라도 초과하면 발생하는 ‘블랙아웃’을 고려한다면 신재생에너지만으로 전력시스템을 설계하긴 무리가 크다. 생산한 전력을 모아두고 필요할 때 공급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도 있지만 이 기술도 아직 현실과 거리가 있다. 현재 기술로는 빌딩 하나에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려면 배터리로 가득 찬 빌딩을 추가로 지어야 한다.카터 전 대통령의 탈원전 선언 후 30여년간 미국에선 신규 원전 건설 허가가 단 1건도 이뤄지지 않았다. 미국 원전산업의 암흑기였다. 그리고 2010년 같은 민주당의 대표적인 환경론자인 오바마 대통령은 31년간 중단됐던 새 원전 건설계획을 발표했다. 급증하는 에너지 수요를 감당하고 제조업의 경쟁력을 지키면서도 지구 온난화에 대응하려면 온실가스(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원전 건설이 불가피하다고 본 것이다.
댓글 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