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KBreak1
탈원전 정책에 반대합니다. 첫번째, 기저부하를 무엇이 담당할 것인가? 원전의 가치 중 하나는 전력망의 기저부하를 가장 안정적으로, 효율적으로 감당해 줄 수 있다는 것에 있습니다. 화력발전과 재생에너지가 이것을 감당할 수 있을까요? 화력발전소가 현재 원전이 담당하고 있는 영역까지 발전을 감당하려면 더 많은 화력발전소를 건설해야 합니다. 실제로 독일의 경우 석탄화력발전소를 늘렸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된다면 미세먼지 문제는 어떻게 하실것입니까. LNG만으로는 충분한 전력 수급이 힘듭니다. 재생에너지는 기저부하를 담당하기엔 한반도 환경이 매우 좋지 않습니다.
한반도에서 풍력발전은 여름이 되면 발전을 거의 하지 못합니다. 오히려 전기를 소모해야합니다. 태풍의 존재 때문입니다. 독일은 사시사철 강한 북해바람이 일정하게 오기 때문에 풍력발전이 가능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불안정한 요소가 산재해 있어 풍력발전에 기저부하를 맡길 수 없습니다. 태양광도 마찬가지입니다. 밤에는 오히려 전력망 유지 때문에 전력을 소모해야 합니다. 어디에 맡길까요?
두 번째, 전기 소요가 매우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 때문입니다. 여름과 겨울의 냉/난방 수요도있지만, 전기차, 4차산업혁명, AI의 대두는 곧 전기수요의 폭등을 불러옵니다. 지금 이런 전환기에 전력 수요를 생각지 못한 성급한 탈원전은 발전을 늦추고 타 국가에 선점당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입니다.
세번째, 한국의 원자로 기술은 세계에서 수위를 다툽니다. 경수로의 수출 실적과 기술 수준, 그리고 지금 핵융합로 연구로 쌓아놓은 이 고도의 기술과 산업을 포기할 것입니까? 막말로, 우리가 안쓰는 원자로를 누가 사가겠습니까?
네번째, 물론 후쿠시마와 체르노빌 사례를 들어서, 한수원에서 일어난 부품과 관련한 비리와 최근 영남권에 잦아진 지진을 들어 탈핵을 주장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그것에 대해서도 합당한 이유가 있다고는 생각합니다. 하지만, 후쿠시마와 체르노빌의 사례는 잘못된 사후 대처와 안전장치를 무시한 실험으로 인한 사고였습니다. 대한민국의 원전설계 안전 기준은 매우 타이트하며, 그러한 사고 발생을 억제하고 피해 없이 수습할 수 있습니다.
원자력발전소 사고에 대한 공포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탈원전 여론의 기반인 것도 맞습니다. 잘못된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그 목소리가 커진 것도 맞고, 탈원전에 대해서 국민이 한번쯤은 이렇게 공론화 되어서 이야기 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탈원전정책이 많이 성급하게 내린 결정이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아직은 원자력발전소가 필요하고, 당분간은 대체하기 힘든 존재입니다.
댓글 0
5